728x90
-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76502
코딩테스트 연습 - 괄호 회전하기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다음 규칙을 지키는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정의합니다.
- (), [], {} 는 모두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.
- 만약 A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, (A), [A], {A}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. 예를 들어, []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, ([])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.
- 만약 A, B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, AB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. 예를 들어, {} 와 ([])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, {}([])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.
대괄호, 중괄호, 그리고 소괄호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 s를 왼쪽으로 x (0 ≤ x < (s의 길이)) 칸만큼 회전시켰을 때 s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게 하는 x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 사항
- s의 길이는 1 이상 1,000 이하입니다.
입출력 예
s | result |
"[](){}" | 3 |
"}]()[{" | 2 |
"[)(]" | 0 |
"}}}" | 0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
입출력 예 #1
- 다음 표는 "[](){}" 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.
x | s를 왼쪽으로 x칸만큼 회전 | 올바른 괄호 문자열? |
0 | "[](){}" | O |
1 | "](){}[" | X |
2 | "(){}[]" | O |
3 | "){}[](" | X |
4 | "{}[]()" | O |
5 | "}[](){" | X |
-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는 x가 3개이므로, 3을 return 해야 합니다.
입출력 예 #2
- 다음 표는 "}]()[{" 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.
x | s를 왼쪽으로 x칸만큼 회전 | 올바른 괄호 문자열? |
0 | "}]()[{" | X |
1 | "]()[{}" | X |
2 | "()[{}]" | O |
3 | ")[{}](" | X |
4 | "[{}]()" | O |
5 | "{}]()[" | X |
-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는 x가 2개이므로, 2를 return 해야 합니다.
입출력 예 #3
- s를 어떻게 회전하더라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을 만들 수 없으므로, 0을 return 해야 합니다.
입출력 예 #4
- s를 어떻게 회전하더라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을 만들 수 없으므로, 0을 return 해야 합니다.
풀이
1. 입력 괄호를 Char 배열로 저장한다.
2. Stack 을 이용하여 올바른 괄호인지 확인 한다.
- 1번의 Char 배열을 탐색한다.
- Stack 이 비어있을 경우 첫 Char 를 저장한다.
- 이후 들어오는 Char 와 Stack 에 저장된 최상위 값을 비교하여 올바른 괄호("{}", "[]", "()") 를 이룰 경우 Stack 의 최상위를 제거한다.
-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Char 배열의 크기 만큼 탐색한 후 최종 Stack 이 비어 있으면 올바른 괄호 문자이다.
전체 코드
import java.util.*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s: String): Int {
var answer: Int = 0
val sList = mutableListOf<Char>()
s.forEach { c ->
sList.add(c)
}
for (i in 0 until s.length) {
if (i != 0) {
// i 만큼 이동
sList.add(sList.removeAt(0))
}
if (isRight(sList)) answer++
}
return answer
}
private fun isRight(input: MutableList<Char>): Boolean {
val stack = Stack<Char>()
//println("======input : ${String(input.toCharArray())}")
input.forEach { i ->
if (stack.isEmpty()) {
stack.add(i)
} else {
val top = stack.peek()
when {
(i == ']' && top == '[') ||
(i == '}' && top == '{') ||
(i == ')' && top == '(') -> stack.pop()
else -> stack.add(i)
}
}
//println("stack : $stack")
}
return stack.isEmpty()
}
}
728x90
'알고리즘 > 자료구조(Map, Set, Lis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]다리를 지나는 트럭 (0) | 2022.03.23 |
---|---|
[KOTLIN] 위장 (0) | 2022.03.11 |
[KOTLIN] 후보키 (0) | 2022.03.08 |
[KOTLIN] 프린터 (0) | 2022.02.28 |
[KOTLIN] 빛의 경로 사이클 (0) | 2022.02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