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-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586
문제 설명
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. 각 기능은 진도가 100%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.
또,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,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.
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제한 사항
- 작업의 개수(progresses, speeds배열의 길이)는 100개 이하입니다.
-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.
-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-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,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.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%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%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.
입출력 예
progresses | speeds | return |
[93, 30, 55] | [1, 30, 5] | [2, 1] |
[95, 90, 99, 99, 80, 99] | [1, 1, 1, 1, 1, 1] | [1, 3, 2] |
풀이
1. 입력된 progess 정보와 speed 정보를 이용하여 각 작업의 배포 가능한 날짜를 계산 한다.
2. 1번에서 계산 시 progress : 30, speed : 30 일 때 소수점으로 나오면 올림 한다.
코드
class Solution {
fun solution(progresses: IntArray, speeds: IntArray): IntArray {
var answer = intArrayOf()
var lastDay = 0
var cnt = 0
progresses.mapIndexed { index, progress ->
Pair(progress, speeds[index].toDouble())
}.map {
(100 - it.first) / it.second
}.map {
ceil(it)
}.map {
it.toInt()
}.asSequence().forEach { curDay ->
if (lastDay >= curDay) {
cnt++
} else {
if (lastDay != 0)
answer = answer.plus(cnt)
lastDay = curDay
cnt = 1
}
}
answer = answer.plus(cnt)
return answer
}
}
728x90
'알고리즘 > 자료구조(Map, Set, Lis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] 프린터 (0) | 2022.02.28 |
---|---|
[KOTLIN] 빛의 경로 사이클 (0) | 2022.02.25 |
[KOTLIN] 오픈채팅방 (0) | 2022.02.15 |
[KOTLIN] 실패율 (0) | 2022.02.10 |
[KOTLIN] K번째 수 (0) | 2022.02.08 |